ocean floor/html floor

a 태그를 통한 링크, 그리고 웹 호스팅

dankthedust 2021. 2. 25. 00:45

<a> 태그를 통한 현재까지 작성하였던 1.html 페이지에서 index와 2,3 페이지를 파생시켜 해당 페이지들을 링크를 걸어 하나의 웹 서비스를 구축해보았다.

<a> 태그는 anchor의 의미로 닻을 정보의 바다에 정박한다라는 의미로 해당 강의를 들었는데, 이러한 의미보다 나에게는 닻을 통해서 걸어주고 고정하여 연결한다.(즉, 정박하여 배와 선착장을 연결하고 고정시켜준다.)라는 의미로 받아 들여졌다.

a태그를 통한 간단한 웹사이트 체계를 완성하였는데, 이전 대학 과제에서도 많이 사용했던 링크일 테이지만 바로 기억을 못했다는 것이 아쉽게 느껴졌다. 대학수업때에 흥미롭게 들었지만 깊게 빠져들지는 못했구나 싶었다.

 

index, 1, 2, 3 Pages

앞에서 다룬 1.html를 기반으로 파생한 index와 2, 3 페이지를 <a> 태그를 통해 링크를 걸었고 이를 통한 동작을 확인하였다.

 

인터넷이 동작하는 가장 기본적인 원리는 정보 요청과 제공을 통한 상호작용이 필요한데, 이러한 기능은

1) 웹브라우저 사용자가 서버로부터 특정 페이지를 요청

2) 서버는 그 전기적 신호를 받고 정보를 응답하며 해당 요청 페이지를 제공

3) 사용자는 해당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페이지를 수신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개발자는 해당 웹 사이트를 제작, 또는 프로젝트를 제작하고 난 뒤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2가지의 방법이 필요한데,

첫번째 방법은 서버를 제공해주는 기업을 통해 제공하는 법. (web hosting)

* 대행 서버 제공의 가격이 낮거나 무료인 호스팅 회사를 static web hosting 이라고 불리운다.

두번재 방법은 자체적으로 서버를 설치하여 제공하는 법으로 나뉜다.

 

해당 강의에서는 web hosting을 통해 간접적으로 체험하며, 서버도한 가능한 직접 운영하여 그 원리를 알아보기를 추천하였다.

대표적 web hosting 서비스 회사 중 'github'를 다루게 되었는데, 이용자는 고객이 되기도, 오픈소스를 제공하는 개발자가 되기도 하며 코딩의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한다라는 느낌을 많이 받았다.

github는 이용자가 만든 페이지를 업로드하고 github에서는 웹 서버를 활성화하여 부여되는 url을 통해 다른 이용자가 해당 웹브라우저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주면서, 다른 이용자가 만든 웹(오픈소스)을 통해 개발의 정보제공을 원활히 해준다.

<출처 생활코딩>

github를 이용하여, 지금까지의 진행상태를 업로드 하였고, 수업을 통해 내가 제공받은 첫 url 주소이다.

dankthedust.github.io/web1/index.html

 

WEB1-WELCOME

HTML CSS JavaScript World Wide Web The World Wide Web (WWW), commonly known as the Web, is an information system where documents and other web resources are identified by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s, such as https://example.com/), which may be interlin

dankthedust.github.io

 

대학공부를하면서 함께 과제를 진행했던 선배로부터 github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마냥 전문적이고 나와는 거리가 먼 느낌을 받았는데, 지금 해보면서 느낀 점은 어렵게만 보이고 느껴지는 것도 내가 경험하기 전에는 그 강도는 알 수 없다라는 것이다. 경험하기 전에 내가 겪을 바다는 깊은지 얕은지 알 수 없지만, 직접 발을 담구어 봐야 알 수 있듯이

 

'겁내지 말고 무모하게 그리고 더 깊게'

* 다음수업에서는 웹서버에 대해 다루게 되는데 내가 아는 내용일지 궁금하다.